복지부 위원회 3분의 1이 “있으나 마나”

입력 2015-09-04 15:53

장애인·노인·임신부 등의 편의 증진과 제도 개선을 논의하는 보건복지부 산하 ‘편의증진심의회’는 지난 3년간 한차례도 회의를 열지 않았다. 최근 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등 감염병의 위기관리 주요 대책을 심의하는 ‘감염병관리위원회’는 2012년 이후 단 두번만 열렸다.

복지부 소속 위원회의 3분의 1이 이처럼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동익(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에 따르면 복지부 소속 35개 위원회 중 31.4%(11개)는 2012~2014년 연평균 개최 횟수가 1회 미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편의증진위원회와 한방산업육성협의회, 연계급여심의위원회, 국가보존묘지심사위원회 등 4개는 한번도 개최되지 않았다.

모자보건심의회·장애판정위원회·중앙치료보호심사위원회는 각 1차례씩, 감염병관리위원회·인체조직안전관리위원회·국가암관리위원회·중앙의료급여심의위원회는 각 2차례씩 열리는 데 그쳤다. 특히 인체조직안전관리자문위원회는 2004년 설치 근거가 만들어진 후 10년이 지난 지난해 5월 첫 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이 위원회는 인체조직 기증 관리 및 이식의 기본 정책을 수립하고 인체조직은행 허가기준 등을 심의한다.

최 의원은 “위원회 마다 각각의 역할과 필요성이 있어 그 기능을 각 법률에 명시해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 부처가 이를 제대로 실행하지 않는다면 이 또한 법률위반 행위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감염병관리위원회를 자주 열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했더라면 메르스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