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름(콘딜로마)은 항문과 생식기(성기)부근에 나타나는 닭벼슬 모양의 사마귀 등이 특징인 질환이다. 남성곤지름의 경우 항문과 성기에, 여성곤지름의 경우 외음부나 질, 항문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환부의 특성상 곤지름은 사실과는 달리 성병으로 잘못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곤지름 초기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도 밝히기를 꺼려하며 치료를 미뤄 병을 키우는 일이 다반사다.
곤지름치료병원 숨길을열다한의원 김재석 대표원장은 “사람들이 곤지름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오해가 바로 곤지름이 성병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곤지름원인이 되는 HPV는 성인의 50%가량이 가지고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한 바이러스이며, 오해와는 달리 성병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김 원장에 따르면 곤지름은 HPV(인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들은 HPV를 쉽게 이겨내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들의 경우 바이러스를 이기지 못해 곤지름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쉽게 말해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서 감기가 나타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김재석 원장은 “곤지름이 의심된다면 즉시 곤지름전문병원에 방문해 곤지름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명하다”며 “곤지름은 절대 숨기거나 부끄러워할 질환이 아니다. 환자들의 우려와는 달리 치료과정 역시 어렵지 않다. 곤지름치료한의원에서는 환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곤지름치료방법을 통해 환자의 수치심과 치료 시 곤지름 통증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곤지름에 대해 가지는 또 하나의 큰 오해 중 하나는 곤지름치료 후 곤지름재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피부에 나타난 곤지름증상만을 치료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일 뿐”이라며 “근본적인 점막면역력을 높이는 곤지름치료를 받는다면 얼마든지 재발 없는 치료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원장은 “곤지름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낫기 힘든 질환이지만 전문 의료진을 만나 그 원인을 분명하게 알며 근본적인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에 노력한다면 곤지름완치는 분명 가능하다”며 “곤지름을 부끄럽게 여겨 숨기기보다는 적극적인 자세로 치료에 노력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전국 5개 지점을 가진 숨길을열다한의원은 매달 학술 심포지움을 개최하며 오랜 기간 곤지름, 치질, 치핵, 치열, 항문소양증, 비염, 축농증, 후비루 등의 체내 점막 질환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곤지름을 유발하는 HPV질환에 특화된 점막 면역 곤지름치료에 앞장 서고 있다.
이영수 기자
곤지름은 감기처럼 흔한 질환? 성병으로 오인 받는 곤지름의 진실
입력 2015-09-03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