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2020년 한중일 3개국의 섬유산업 기술수준을 일본 100%, 한국 85%, 중국 75%로 전망했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기술력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추격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섬유산업의 한중일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과 정책제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의 섬유산업 기술수준은 지난 2010년 75% 2015년 79%로, 2020년에도 85%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은 2010년 55%, 2015년 65%, 2020년 75%로 섬유산업 기술수준이 꾸준히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과 중국과의 기술격차는 2010년 20%, 2015년 14%, 2020년 10%로 10년 새 절반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선두국인 일본과 한국의 기술격차는 2010년 25%, 2015년 21%, 2020년 15%로 나타났다.
한중일 3개국의 세계섬유시장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중국 37.9%, 한국 2.2%, 일본 1.2%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2007년 2.7%에서 2013년 2.2%로 세계시장점유율이 하락했으며, 일본도 같은기간 1.7%에서 1.2%로 감소했다. 반면 중국의 섬유산업 시장점유율은 2007년 34.1%에서 2013년 37.9%로 상승했다.
한경연은 “중국이 중저가품을 위주로 수출을 확대하면서 똑같은 중저가품 수출에 경쟁력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시장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일본은 시장점유율은 낮지만,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성능 산업용 섬유소재 1위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2020년 섬유산업 경쟁력 수준, 日 100·韓 85·中 75
입력 2015-09-03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