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움직임에 교단이 강한 반발을 표했다.
전국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 2255명은 2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공인한 하나의 역사해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결과를 가져올 국정 교과서는 역사교육의 본질에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직 교사의 과반수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한다는 각종 여론조사를 예로 들었다. 이 모임 소속 교사들은 “교육부는 균형잡힌 교과서를 강조하고 있지만 진실은 국정 교과서를 통해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거나 희석시키려는 시도”라며 “국정 욕심을 버리고 다양한 검정 교과서가 발행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쪽으로 정책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국정 교과서를 발행한다면 대대적인 불복종 운동과 국정교과서 폐지 운동에 나서겠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앞서 이들은 지난해 10월 교사 1034명이 참여한 1차 선언에서 국정교과서는 5년을 주기로 교체되는 정부의 역사관을 담는 교과서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 정부의 한국사 관련 주요 기관의 기관장이 뉴라이트 계열 인사로 채워져있어 국정 발행되는 한국사 교과서는 친일·독재 미화로 현장의 외면을 받은 교학사 교과서와 비슷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전했다.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도 내놨다. 이들은 “인물사를 표방한 초등학교 역사는 지배층 중심의 정치사로 후퇴했고 중학교 역사에서 중국사와 유럽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역사는 모두 사라졌다”고 꼬집었다.
또 “고교 한국사는 근현대사 비중을 더 늘리라는 현장 요구와 세계적 추세에 역행해 그 비중을 오히려 줄여 역사학계와 교육계로부터 사실상 파산 선고를 받았다”며 개정 교육과정 시안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역사 교사 2255명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선언
입력 2015-09-02 17:31 수정 2015-09-02 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