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국회의장은 1일 내년 4월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의장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내년 부산에서 출마하느냐"는 질문에 "부산 중·동구가 내 지역구인데 출마하는 게 당연하다"고 답했다.
정 의장은 "박관용 전 의장이 그러한(국회의장 역임 후엔 총선 불출마) 전례를 세웠는데 나는 생각이 조금 다르다"면서 "우리 국회도 배의 평형수처럼 무게를 잡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마를 하더라도 의장직은 내년 5월말까지 수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 의장은 "박관용 김형오 김원기 임채정 전 의장에게 비례대표를 줘서 내년 총선에 국회로 들어왔으면 좋겠다"면서 "국회가 초선 비율이 너무 많기 때문에 달항아리 모양의 노장청이 조화를 이루는 국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 의장은 이날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내년에 부산 중·동구에서 출마하느냐"는 질문에 정 의장은 "그렇습니다. 그렇게 생각하십시오"라고 답했다.
정 의장은 또 "그동안 동서화합의 역할을 했는데 광주로 출마하는 것 아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이번에 광주를 가니까 원로들로부터 그런 요청을 받기도 했지만 현재로서 그런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장은 "국회의원은 자기가 사는 지역에 대표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면서 "저는 철새나 낙하산 정치를 늘 거부해온 사람이고 부산 중·동구에 60년째 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원들이 선출하는 국회의장은 4년 임기 중 2년씩 2명이 번갈아 맡고 일단 의장으로 선출되면 탈당해 외형상 정치적 중립을 지켰으며, 차기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는 게 관례였다.
19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맡았던 강창희 전 의장도 지난 4월 내년 총선 불출마 입장을 공식 선언했다.
정 의장은 또 "우리 사회의 통합을 위해서는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해야 다당제가 되고 연정도 할 수 있다"면서 "현재 소선거구제는 승자독식이 되고 양당구조로 가면서 늘 다툼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정 의장은 권력 구조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내각제로 가야 한다"면서 "그러나 아직 (정치가) 그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4년 중임의 분권형 대통령제를 중간단계로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야간 쟁점이 된 정부의 특수활동비 심의 강화에 대해서는 "100% 투명하게 노출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다만 국회 예산결산특별위 안에 소위를 만들어 담론으로 논의할 가치는 있다"고 제안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예결위 산하에 소위를 신설해 한 해 8천800억원 규모의 특수활동비를 심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전직 국회의장들에게 비례대표로 선출하는 방안에 대해 "처음 들어봐서 생각을 해야겠다"면서 "혼자 외롭게 계시니까 많은 연구를 하신 것 같다"고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부산 중·동은 인근 지역구인 서구와 영도구가 각각 헌법재판소가 결정한 선거구 인구 하한선에 미달해 선거구 통·폐합 대상지역으로 분류돼 선거구 조정과정에 중·동구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거론돼 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국회, 노장청 조화 이뤄야 한다” 鄭의장, 내년 총선 부산 출마 방침
입력 2015-09-01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