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이 만들어져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경로인 ‘요로’에 돌(결석)이 생겨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요로결석은 재발률이 높아 병원을 자주 찾는 환자들이 많다. 요로결석은 5년 내 재발률이 50%에 달할 정도로 높다는 보고도 있다.
이런 요로결석 진단에 저선량 CT 촬영이 유용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은 영상의학과 박성빈(사진) 교수팀이 요로결석 환자 116명을 대상으로 일반(표준선량) CT와 저선량 CT를 각각 촬영한 후, 진단의 정확도를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지름 3㎜ 이상의 결석에 대해 영상의학과는 물론 비뇨기과 전문의도 거의 놓치지 않고 확인하는 능력을 보였다.
또 방사선량 1.39 밀리시버트(m㏜) 짜리 저선량 CT는 표준선량 CT(5.92m㏜)에 비해 방사선량 노출을 평균 76.6%나 낮추고도 진단에선 대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박 교수는 “잦은 요로결석 재발로 CT 반복 촬영 시 과도한 방사선 노출이 우려될 경우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저선량CT를 활용해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비뇨기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유롤로지(UROLOGY)’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요로결석 재발 잦을 때 저선량CT 찍으면 방사선 피해 싸~악 가셔
입력 2015-09-01 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