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비관으로 자살한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교육 경쟁체제가 어린 학생들을 극단적 선택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이 30일 교육부에서 받은 ‘학생 자살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8월17일까지 자살한 학생은 61명이다. 이중 성적비관으로 인한 자살은 14명이었다. 지난해 9명보다 이미 5명 많다. 2013년 12명도 넘어섰다. 성적비관으로 자살한 학생은 2009년 23명, 2010년 18명, 2011년과 2012년 각각 16명을 기록했다.
올해 자살한 학생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가정불화·가정문제가 17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적불량(14명), 기타(10명), 우울증(8명), 원인미상(7명), 이성관계(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초등학교 1명, 중학교 6명, 고등학생 7명이고 남학생이 10명으로 여학생(4명)보다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19명으로 전체(61명)의 31.1%를 차지한다. 서울(6명), 부산(5명), 대전(5명), 충남(5명), 경남(4명), 인천(4명) 등이 뒤를 이었고, 제주와 전북, 세종은 한 명도 없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올해 성적비관 자살학생 지난해보다 늘어
입력 2015-08-30 0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