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으로 구성된 이중언어강사의 고용 불안정이 다문화교육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이들을 위한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은희 고려대 사회통합교육연구소 교수는 최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학술지 '다문화교육연구' 제8권 2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초등학교 이중언어 강사들이 고용 불안과 예산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09년 교육부가 도입한 이중언어강사 제도는 4년제 대졸 이상의 결혼 이주여성을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게 한국어와 모국어를 가르치는 강사로 양성해 일선 학교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전 교수는 수도권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이중언어강사 3명을 심층 면담한 결과, 비정규직으로 고용이 불안정하다는 점이 이들의 학교생활을 어렵게 만드는 근본 원인이 되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1년 단위로 고용 계약이 되다 보니 재계약을 위해 과도한 업무를 감내하는 경향이 있고, 다른 교사와의 소통과 연수 기회도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전 교수는 아울러 "이중언어강사 제도가 애초 계획과 달리 멋대로 운영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20시간 남짓 다문화 수업이 책정돼 있지만, 교육청의 자율 조정 권고로 이중언어강사의 업무 범위가 학교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다"며 "급여도 교육청이 제시한 수준보다 낮았고, 수당을 못 받는 일도 있었다"고 파악했다.
하지만, 면담에 응한 이중언어강사들은 대체로 근무여건에 만족하고, 교사로서 자긍심을 느꼈다.
전 교수는 "이중언어강사의 현실을 개선하는 것이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며 이들의 처우 향상, 고용 안정성 확보, 업무 범위 명확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지금과 같은 고용과 처우 방식이 유지된다면 기존 강사들의 이탈을 막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이중언어강사 고용불안이 다문화교육 걸림돌”
입력 2015-08-28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