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 권력구도는 친박(친박근혜)에서 비박(비박근혜)계로 무게추가 이동했다. 친박 주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등 정치현안을 놓고 여전히 비박 지도부를 견제하고 있지만 당내 ‘소수그룹’이란 한계에 직면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유승민 거취 사태’ 이후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집권여당의 ‘파워게임’은 내년 총선의 공천권을 둘러싸고 다시 고개를 드는 형국이다.
◇친박에서 비박으로 ‘파워 시프트’=친박은 이명박정부 후반기 유력 대권주자로 자리매김한 박근혜 대통령을 구심점으로 당내 중심세력이 됐다. 현 정부 출범 초 당 지도부는 황우여 대표와 이한구 원내대표의 바통을 이어받은 최경환 원내대표 등 ‘친박 투톱’ 체제로 꾸려졌다. 여기에 홍문종 윤상현 의원 등 친박 주류가 당의 요직을 장악했다.
하지만 여당의 권력구도는 “할 말은 하는 당청 관계를 만들겠다”고 공언한 김무성 대표가 당권을 거머쥐면서 요동치기 시작했다. 김 대표는 지난해 7·14전당대회에서 ‘친박 맏형’인 서청원 최고위원을 누르고 당 대표에 선출됐다.
이완구 원내대표와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를 필두로 한 ‘친박 원내지도부’도 결국 비박에 자리를 내줬다. 지난 2월 경선에서 유승민 의원이 원내대표로 뽑혔다. 이주영 의원이 친박 주류인 홍문종 의원과 짝을 이뤄 시도한 원내지도부 입성은 완패로 귀결됐다.
◇친박의 반격…총선 앞두고 진영싸움 가열=친박의 반격은 지난 6월 박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 발언 이후 정점을 쳤다.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협상에서 야당의 국회법 개정안 수용 요구를 받아들인 유 원내대표를 향한 책임론이 친박 진영에서 들끓었다. 결국 유 의원은 원내대표 직을 내놨지만 이 과정에서 친박의 결속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이 나왔다.
당내 갈등은 잠시 ‘잠복 모드’에 들어갔지만 최근 양 진영간 교전이 다시 시작된 모양새다. 김 대표가 당론으로 밀어붙이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친박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나선 것이다.
‘파워 시프트’ 중인 여당…부정적 입장 피력
입력 2015-08-26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