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당국자 접촉이 25일 새벽 극적으로 매듭지어진 배경에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추진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의 ‘논리정연함’이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두 사람의 장점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확실한 유감 표명 없이 빠져가려는 북측을 강도 높게 압박했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들은 특히 수석대표로 협상을 이끈 김 실장의 활약이 돋보였다고 입을 모았다. 양측이 합의에 이르기까지 북측 대표로 나선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를 쉴 새 없이 몰아세웠다는 것이다. 김 실장은 천안함 폭침 등 그간 북한의 도발에 대해 강력 규탄했을 뿐 아니라 ‘사과 없이는 확성기 방송 중단도 없다’는 원칙도 끝까지 밀어붙였다고 한다. 시종일관 ‘모르쇠’로 일관하던 북측 대표단은 김 실장의 ‘뚝심’에 밀려 공동보도문에 유감 표명을 명시할 수밖에 없었다는 후문이다.
김 실장은 2010년 이명박정부 시절 국방부 장관에 임명됐다. 박근혜정부가 들어선 뒤에도 장관 직을 지켰다가, 지난해 6월 국가안보 ‘컨트롤타워’인 국가안보실장으로 영전했다. 그만큼 박 대통령의 두터운 신뢰를 받았다. 지난해 10월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 때 만났던 황 총정치국장을 카운터파트로 맞은 것도 김 실장이 특유의 뚝심을 보이기에 유리한 조건이었다는 분석도 있다.
외교·통일 분야의 ‘브레인’인 홍 장관은 이번 협상에서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도발의 부당함을 논리 정연하게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 장관의 논리력은 김 실장의 강력한 추진력과 합쳐져 북측 대표단을 당혹스럽게 했다고 한다. 대학교수 출신인 홍 장관은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외교·국방·통일분과의 실무위원으로 활동하다 박근혜정부 출범 뒤 청와대 통일비서관으로 근무했다. 박 대통령의 ‘통일 대박론’ ‘드레스덴 구상’ 등 정부 대북정책 수립에 깊이 관여해왔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김관진의 '추진력'과 홍용표의 '논리력'이 합의의 열쇠
입력 2015-08-25 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