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대화론 주효했다” 문재인, 경제통일론 재부각 시동

입력 2015-08-25 16:05

남북간 군사적 긴장 해소를 위한 고위급 접촉이 25일 타결되면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도 잠시 주춤했던 '경제통일' 행보에 다시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새정치연합 내에서는 문 대표가 고수해 온 '대화론'이 결국 주효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면서, 이후에도 문 대표가 통일 의제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문 대표는 사태 초기 여당이 '강력응징론'을 들고 나오자, 대화를 기반으로 한 평화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맞서면서 조건없는 남북 고위급 접촉을 제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22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및 여야 원내대표단이 참여한 '2+2 회동'에서는 공동발표문에 '평화적 해결을 위해 당국 간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는 문구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당내에서는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 고위급 접촉이 타결된 만큼, 문 대표가 더 자신감을 갖고 경제통일 행보를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우선 문 대표는 남북 당국이 교류 활성화를 약속한 만큼 이후 상황을 살피면서,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 및 5·24 조치 해제 등 야당이 요구해 온 사안들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군사도발 사태 탓에 잠시 숨고르기를 했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후속조치 역시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미 지난 19일 현대아산을 방문해 금강산 관광 중단 피해실태를 점검한 문 대표는 이후에도 개성공단 유관 기업은 물론 '남북경제교류 신(新) 5대 원칙'을 제시한 전국경제인연합회와의 간담회 등을 잇따라 추진한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신경제지도에 등장하는 양 날개인 '환황해권 경제구역'과 '환동해권 경제구역'의 거점 도시인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나 일본 니가타항 등을 방문하는 계획도 계속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문 대표는 지난 3월에도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 대사로부터 방중 초청을 받았으며, 10월 방중이 가능할지도 타진 중이다.

아울러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한반도 평화·안전보장 특별위원회'를 통해 새정치연합의 평화·안보정책 구상을 계속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고위급회담을 계기로 외교·안보 드라이브를 강력히 걸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문 대표의 행보가 주목을 받을 수 있겠느냐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박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참석 및 방미 등 외교일정이 숨가쁘게 돌아갈 경우, 문 대표의 경제통일 행보는 상대적으로 빛이 바랠 수 있다는 걱정이다.

여기에 이번 회담을 계기로 국정의 주도권이 여권으로 넘어가면서 야권의 존재감 자체가 약해질 수 있다는 점도 문 대표의 고민거리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