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나흘간에 걸친 고위급 접촉을 통해 다양한 분야 민간 교류 활성화에 합의하면서 대북 사업을 추진해온 대북 민간단체들은 일제히 기대감을 드러냈다.
대북단체 관계자들은 이번 협상 타결이 교류사업 활성화의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다면서 일단 신규 사업보다는 기존에 중단됐던 사업의 재개에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예측이 어려운 남북관계의 특성상 신중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홍상영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국장은 25일 "5.24 조치 이후 거의 모든 민간교류 활동이 중단된 상태"였다며 "이번에 (합의된 내용에) 남북 민간교류를 확대하자는 내용이 조항에 들어가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그동안 남북한 공동 말라리아 방역사업 등 공동 방역사업, 양묘장 사업, 공동 축산 협력사업 등을 진행해왔으나 지금은 중단된 상태다.
홍 사무국장은 "이번 합의로 과거에 진행했던 민간 차원의 교류를 재개할 방침"이라며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 사회의 변화에 걸맞은 대북 교류방식의 변화도 새롭게 모색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대북단체 관계자도 "협상 타결로 교류의 길이 열리겠다는 큰 기대가 있다"며 "신규 사업도 추진해야겠지만 일단 그동안 중단됐던 산림협력, 병해충 방재, 사회·문화교류 사업 등을 재개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남북관계는 작은 부분에도 쉽게 틀어지는 예민한 부분이 있어서 여전히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면서 "민간 교류 활성화를 위해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광복 70주년과 6·15공동선언 15주년을 기념하는 민족공동행사 개최가 연이어 무산되는 아픔을 맛봤던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는 향후 '10·4 공동선언'의 의미를 되살리는 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10·4 공동선언'은 2007년 10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 발표한 선언이다.
남측 준비위원회 관계자는 "10·4선언과 관련해 북한과 행사를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을지 검토해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5.24조치 해제 필수” 대북 지원 단체,교류사업 활성화 기대
입력 2015-08-25 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