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량이 적을수록 항암 치료의 부작용 발생과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현·김진원 교수, 정희원 전공의 연구팀은 2003년부터 7년간 대장암 수술을 받은 2047명 중 동일한 항암 치료를 받은 229명을 선별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상 환자들의 근육량을 비교하기 위해 각 환자들이 수술 전 촬영한 CT영상에서 허리와 다리를 이어주는 근육인 네 번째 허리뼈 앞 근육의 면적을 측정했다. 이어 근육량이 가장 적은 그룹부터 많은 그룹까지 총 4개 그룹으로 나누어 치료 경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근육량이 가장 적은 그룹은 근육량이 가장 많은 그룹에 비해 중증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률이 약 20% 이상 높았다. 사망률도 근육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근육량이 1(mm²/m²) 감소할수록 사망률은 2배 가까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대장암 항암 치료시 환자의 근육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지현 교수는 “근육량이 적은 환자는 근육량이 많은 환자보다 항암 치료시 중증 부작용 발생률이 더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서포티브 케어 인 캔서’ 최근호에 게재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근육량 적을수록 대장암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 사망률 높아진다
입력 2015-08-25 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