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4일 김포 18곳, 파주 14곳, 연천 12곳, 포천 7곳, 고양 1곳 등 접경지역 5개 시·군의 정부지원 대피시설 52곳을 일제 점검했다.
도는 이들 시설에서 대피계획에 따른 적절한 장소 확보·시설 활용 여부, 비상 조명등, 필수 비품 비치 상태 등을 살폈다.
도는 25일 양주지역 대피시설 3곳까지 점검한 뒤 결과를 토대로 부족한 시설을 보완할 계획이다.
현재 경기도내 접경지역 7개 시·군에 설치된 대피시설은 정부 지원과 공공기관 지정을 합쳐 총 1244곳으로, 시·군별 인구 대비 대피시설 총 정원 비율인 수용률이 100∼600%에 달한다.
그러나 지난해 10월과 지난 20일 북한군의 기습 도발을 겪은 연천지역 대피시설의 수용률은 91%에 불과하다.
연천지역의 대피소는 정부지원 12곳, 공공기관 지정 26곳 등 38곳으로, 4만1464명을 수용할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연천 인구가 4만5519명인 점을 감안하면 10명 중 1명은 대피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셈이다.
연천=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
경기도,24∼25일 접경지 대피시설 55곳 긴급 점검
입력 2015-08-24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