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새누리당의 노동개혁 드라이브에 맞불을 놓기 위해 별도 특위를 꾸렸지만 첫 회의부터 의제와 진정성을 놓고 마찰음이 불거지는 등 삐걱대는 모습을 보였다.
당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위(노동특위) 위원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은 24일 첫 회의를 열어 새누리당의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이 땜질식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며 ▲청년·여성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노동시간 단축을 3대 실천과제로 제시했다.
추 최고위원은 "이제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진정한 개혁 방안을 논의하자"며 새누리당 노동선진위특위 위원장인 이인제 최고위원에게 대화를 제안했다.
문재인 대표도 "대기업이 사내유보금 710조원의 1%만 줄여도 주요 일자리 30만개를 새롭게 만들 수 있다"며 "휴일노동까지 포함해 법정노동시간만 준수해도 70만개 일자리가 늘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사내유보금 활용과 노동시간 단축을 강조했다.
그러나 자문위원들은 연달아 야당의 느린 대응과 진정성을 문제삼았다.
이병훈 중앙대 교수는 "특위 명칭이 언론에 나온 지 벌써 한 달 여인데 이제서야 첫 회의를 한다"며 "정부여당은 컨트롤타워를 만들어 노동개혁을 안하면 나라가 망할 것처럼 판을 짜는데 야당 움직임이 너무 더뎠다"고 지적했다.
박태주 한국기술대 교수도 "새정치연합이 제대로된 일자리 정책을 만들고 추진할 의지와 역량을 가졌는지 의구심을 갖고 회의에 참석했다"고 쓴소리했다.
정준영 청년유니온 정책국장은 "대안을 제시해야할 야당의 모습은 어떤가 질문해야할 시점인 것같다. 지금까지는 (여권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같다"고 분발을 촉구했다.
노동특위 부위원장인 이용득 최고위원은 새정치연합의 실천과제 자체가 잘못됐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최고위원은 "특위가 왜 만들어졌는지 의문이 간다. 야당도 새누리당도 노동에 대한 이해를 전혀 못하고 있다"며 "걸핏하면 표 얻으려고 이런 일 하는 게 아닌가 몰라도 일자리는 이렇게 창출 못한다"고 비판했다.
노동계가 반대하는 핵심 쟁점인 '일반해고 지침'과 '취업규칙 변경'에 대해 새정치연합이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 이 최고위원의 주장이다.
회의장 분위기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특위 간사인 이인영 의원은 "지금 우리가 설정하는 것과 이 최고위원이 말하는 것이 다르지 않다. 오해가 없으면 좋겠다"고 진화하며 회의를 비공개로 돌렸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걸핏하면 표 얻으려고 이런 일 한다” 野 노동특위 첫 회의부터 쓴소리 쏟아져
입력 2015-08-24 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