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과에 얽매이면 안돼” 박지원 “포괄적 출구전략 필요”

입력 2015-08-24 10:09

새정치민주연합 '한반도 평화·안전보장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4일 남북 고위급 접촉과 관련, "사과를 받는 일에 너무 치중하면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포괄적이고 근본적으로 관계를 개선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당장 북한이 사죄하고 재발방지대책을 세우면 얼마나 좋겠나. 그러나 상대가 있는 문제여서 힘들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YTN라디오에서도 "관계정상화, 즉 출구전략에 초점을 맞추면 다른 문제는 나중에 정리가 된다"며 "선이후난(先易後難)의 자세로 쉬운 것부터 먼저 해결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회담에서는 획기적 방안을 찾기보다는 물꼬를 트는 데 의미를 두는 것도 좋을 것"이라며 "이후 일종의 협의체를 구성해 대화를 계속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회담이 길어지는 것은 좋은 징조로 본다. 문제를 풀기 위한 과정"이라며 "다만 북한의 경우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를 받으려면 (절차가) 좀 더 복잡하다. 김 위원장의 결심을 받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군사력을 전진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도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회의에서 "북한의 군사행동은 (국내에서 진행 중인) 한미군사훈련의 대응조치라고 볼 수도 있고, 휴전을 앞두고 더 폭격을 하듯이 협상을 앞두고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과민 대응은 필요없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표가 "협상 상황을 미국과는 공유하고 여야 정치권과 국민이 알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비판한 것에는 "과거에도 남북주요 협상은 미국에 숨소리까지 알려주면서 협의했다. 한미동맹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정부도 북측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보안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이견을 보였다.

이어 "새정치연합은 초당적으로 협력하면서 정부와 북측에 항의할 것은 항의하겠다"며 "6·15 시대, 10·14 시대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