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여의도에 육상 대중교통과 수상교통을 갈아타며 이용할 수 있는 종합선착장과 한류를 이끌 대형 복합문화시설이 들어선다. 이촌지구에는 콘크리트 제방을 걷어내고 자연형 호안과 버드나무림이 조성된다.
기획재정부 등 중앙정부와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을 마련해 24일 발표했다.
정부와 시는 한강을 7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특화해 개발하기로 했다. 마곡-상암은 생태거점 및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합정-당산은 한류관광과 문화·창작공간으로, 여의-이촌은 관광·생태거점 및 수상교통 허브로 조성된다. 반포-한남은 수변여가 및 상징녹지공간으로, 압구정-성수는 도심여가 및 친수공간, 영동-잠실-뚝섬은 복합문화 허브와 수상교통으로 거점, 풍납-암사-광진은 생태거점 및 역사·문화공간으로 각각 특화 개발된다.
정부와 서울시는 여의-이촌권역을 우선협력 거점으로 선정해 민간과 공공으로 총 3981억원을 투입, 2019년까지 사업을 우선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여의도에는 수변문화지구 ‘여의마루(가칭)'가 조성된다. 이곳에는 부두형 수상데크인 ’피어데크'가 들어선다. 피어데크·통합선착장은 700t 선박까지 접안할 수 있게 조성되며 버스, 공항리무진, 수륙양용버스, 지하철, 전기관람차, 리버버스(고속페리), 자전거로 각각 환승할 수 있다.
한류문화 전시공간인 ‘이음’도 조성돼 대중문화 콘텐츠 전시장과 영상·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스튜디오, 이벤트홀, 기념품숍 등이 들어선다.
윤중로변에는 한강을 조망하면서 휴식할 수 있는 여의테라스가 들어서고 이동형 컨테이너로 만든 무빙스토어도 설치된다. 올림픽대로와 샛강으로 단절된 노량진과 여의도를 잇는 보행교도 설치한다.
또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여의샛강 합류부에 자연형 호안과 생태숲·갈대·물억새 등ㅇ츨 조성할 계획이다. 여의지구 한강 둔치와 여의샛강 합류부, 자동차전용도로 인근에는 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촌지역도 콘크리트 인공제방을 철거하고 완만한 경사와 수변생물이 어우러진 자연형 호안을 조성하고 생태습지와 버드나무림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와 서울시는 이 사업으로 2019년까지 4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기고 한강공원의 녹지율은 현재 57%에서 2030년 64%로, 외국인 관광객의 한강 방문율은 같은 기간 12.5%에서 20%까지 늘 것으로 기대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2018년까지 여의도 한강공원에 수륙환승 되는 문화관광 시설 조성…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입력 2015-08-24 10:02 수정 2015-08-24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