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北, 사과·재발방지 약속해야”…野, 위기관리위 설치

입력 2015-08-23 21:50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고조 속에 '초당적 협력'을 다짐한 여야는 23일 이틀째 열리는 남북 고위급 접촉을 예의주시하며 상황파악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정치권은 일단 남북간에 대화를 통한 해법이 모색되는 데 대해 다소 안도하는 모습이다. 일촉즉발의 위기 국면에서 대화를 통한 원만한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그럼에도 물리적 충돌에 대비한 남북의 군사적 움직임이 속속 감지되자 여야는 긴장감을 늦추지 않은 가운데 각각 지도부를 중심으로 '비상 체제'를 이어갔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전날 밤늦게까지 국회에 머무르면서 고위급 접촉을 지켜본 데 이어 이날은 여의도 자택에 머무르면서 수시로 상황을 보고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장우 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회담의 진행 과정을 지켜보면서(당 차원에서) 여러 조치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새누리당은 남북간 접촉 결과에 따라 전날처럼 이 날도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해 북한의 지뢰도발과 포격도발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변인은 "북한이 거듭된 국지적 도발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가 선행돼야 하고, 책임자에 대한 엄중한 문책과 재발 방지 약속이 최우선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남북간 접촉이 재개되면 국회에서 문재인 대표를 비롯해 최고위원과 주요 당직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상황점검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문 대표는 전날 밤늦게까지 국회에서 회담 상황을 지켜본 뒤 전문가들을 만나 향후 전망과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상황점검회의에 참석하고 나서 학계 인사들과 만나 이번 사태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새정치연합은 당초 이날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 반환점을 하루 앞두고 박근혜 정부 평가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이를 연기했다. 대신 당내에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하기 위해 위기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대북통'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임명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했다.

당 관계자는 "일촉즉발의 위기 속에서 협상이 진행 중인 만큼 현정부 중간평가 간담회는 나중에 해도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여야는 전날 남북이 첨예한 대결양상을 보이자 김무성·문재인 대표 및 원유철·이종걸 원내대표가 참석한 '2+2 회동'을 열고 ▲북한의 도발 중단 요구 ▲평화적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대화 촉구 ▲정부의 단호하고 평화적인 상황 관리 및 정치권의 초당적 대처 등을 담은 합의문을 채택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