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촉즉발… 접경지 주민들 안전지대 ‘대피령’

입력 2015-08-22 14:17 수정 2015-08-22 15:01
북한이 전선일대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한 가운데 지난 21일 경기도 연천군 중면에서 군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북한이 추가 도발을 시사하며 일방적으로 통보한 시한인 ‘22일 오후 5시’가 다가오자 접경지역 주민대피령이 잇따르고 있다. 경기도 연천군은 22일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해 민통선 인접 3개 면 주민 3700여명에게 오후 4시까지 대피소로 이동토록 했다고 밝혔다. 연천군은 오전 11시30분 군부대 요청에 따라 중면 횡산·삼곶리 2개 리 218명, 장남면 4개 리 687명, 백학면 13개 리 2861명 등 19개 리 3766명을 대상으로 이같이 밝혔다.

인천시 강화군도 22일 오후 12시55분을 기해 교동면 일부 지역 주민에 대해 대피령을 내렸다. 군부대 요청에 따른 이번 대피 대상은 확성기 설치 지역 인근인 강화군 최북단 교동면 인사리 68가구 132명, 지석리 36가구 63명, 삼선리 7가구 15명 등 111가구 210명이다. 강원도 접경지역 주민들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긴 마찬가지다. 화천군은 이날 오후 1시부터 상서면 마현리와 산양1∼3리 등 5개 마을 주민 880여명을 안전지대로 대피하도록 했다. 당초 오후 4시를 전후해 대피를 명령할 계획이었지만 군부대 작전 가능성을 고려해 대피 시각을 다소 앞당긴 것으로 알려졌다.

철원군도 오후 3시를 기해 철원읍 대마리와 동송읍 양지리 주민 150여명을 대피토록 했다. 고성군도 명파리, 마달리, 배봉리, 화곡리 등 4개 마을 주민 558명을 대피시키기로 하고 주민들에게 통보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