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대북 심리전 방송 시설을 철거하라며 일방적으로 통보한 시한인 ‘22일 오후 5시’가 가까워지면서 공무원들도 초비상 상태다. 정부는 23일까지 전 공무원의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기로 했다.
행정자치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및 시도 부단체장 회의를 영상회의로 개최했다.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한 회의로, 정종섭 장관과 함께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관, 인사혁신처와 경찰청 등 관계 중앙행정기관 실국장,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했다. 앞서 정부는 근무 기강을 확립하고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는 등 비상근무 특별지침을 내린 바 있다.
정부는 인천·경기·강원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과 구호물품 지원방안을 점검하고, 북한의 도발이 전면전으로 확대될 것에 대비해 주민이동 및 차량 통제계획을 확인했다. 행자부와 인사처는 전 정부기관에 필수요원 비상근무를 하도록 하고, 공무원 비상연락망 점검에 나섰다. 경찰청은 치안을 철저히 유지하고 포격 관련 유언비어를 차단해 국민 불안을 차단키로 했다.
정 장관은 “지금은 실제 교전이 발생할지 모르는 시급하고 중차대한 시기므로 긴장감을 가지고 준비 태세에 임해야 한다”며 “단 한 사람의 국민도 다치는 일이 없도록 중앙과 지방의 모든 기관이 협력해 촘촘한 대응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북 도발 대비” 전 공무원 주말 비상근무
입력 2015-08-22 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