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오후 5시… 남북 긴장 고조

입력 2015-08-22 10:15
북한이 전선일대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한 가운데 지난 21일 경기도 연천군 중면에서 군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북한이 대북 확성기 철거를 요구한 시한인 22일 오후 5시가 다가오면서 청와대와 군 당국, 정부는 사실상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청와대와 군 당국은 이날 오후 5시가 남북간 군사적 긴장의 정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군은 지난 20일 서부전선 포격 도발 직후 우리 군에 대북 심리적 방송 시설을 철거하라며 일방적으로 ‘22일 오후 5시’를 통보했다. 한민국 국방부 장관은 지난 21일 국방부 청사에서 화상으로 전군 작전지휘관회의를 주재하며 “북한이 22일 오후 5시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었다.

청와대는 일단 이날 오후 5시를 즈음해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소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시한을 제시한 만큼 그 이후 추가 도발 여부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변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정부의 외교·안보라인이 집결하는 NSC 상임위를 통해 대북 상황을 체크하는 한편 우리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만에 하나 북한의 추가도발이 있을 경우 즉각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으로 분석된다.

다만 북한이 자체적으로 제시한 시한에 앞서 도발할 경우 그에 맞춰 NSC 상임위가 즉각 소집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북한의 도발 강도에 따라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일에 이어 다시 NSC 상임위를 직접 주재할 가능성도 있다. 박 대통령은 현재 관저에서 수시로 보고를 받으면서 상황을 챙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준전시상태 선포 등 도발에 따라 남북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서해5대 조업은 지난 21일에 이어 이날도 전면 중단됐다. 해군은 우리 어민의 안전을 위해 백령도·대청도·연평도 등 서해 5도 인근 해역 조업을 통제했다. 연평도 54척, 백령·대청·소청도 177척 등 총 231척의 어선이 이틀째 조업하지 못한 채 부두에서 대기 중이다.

지난 21일 오후 6시 연천군 중면대피소 주민들에 대한 대피령이 해지되며 경기 최북단 마을 주민들은 긴장 속에서 모두 일상으로 복귀했다. 22일 오전 7시 현재 경기도내 대피 인원은 없다. 주민들은 지난 20일 북한군의 포격 도발에 일손을 내려놓았던 농경지로 돌아갔다. 다만 외지 영농인들의 민통선 마을 출입은 여전히 제한되고 있다. 비무장지대(DMZ) 안보관광지 방문도 통제 중이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