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북한군 전방지역에 준 전시상태를 선포했다. 북한군은 지상화력을 최전방으로 속속 이동하며 추가 도발에 나설 태세에 돌입했다.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도발로 격화된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은 일선 군사령부를 직접 방문해 “북한의 어떤 추가 도발에도 철저하고 단호하게 대응하라”며 “우리 장병과 국민의 안전을 위해하는 북한의 그 어떤 도발도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천명했다. 우리 군은 1976년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이후 처음으로 한·미 연합작전 체제를 가동하며 ‘강력 응징’ 방침을 재확인했다.
김 제1비서는 포격도발이 행해진 전날 밤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비상확대회의를 긴급 소집, 전선지대에 ‘준 전시상태’를 선포하고 군인들에 완전무장을 명령했다고 조선중앙방송이 21일 보도했다. 회의에선 전날 오후 5시부터 48시간 안으로 대북심리전 방송을 중단하고 모든 심리전 수단을 전면 철거하지 않을 경우 군사행동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북한군 총참모부의 ‘최후통첩’도 승인했다.
스커드·노동 미사일 탑재한 북한군 이동식차량이 발사태세에 돌입한 정황도 포착됐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이 원산 인근에 스커드 미사일을, 평북지역에 노동미사일을 각각 발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군 관계자는 “북한군이 후방에 있던 화력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황도 포착했다”고 말했다. 후방에 있던 240㎜ 방사포와 170㎜ 자주포 등 북한군 지상화력이 군사분계선(MDL) 인근 최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최전선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최고조로 격상시키자, 우리 측은 단호한 응징에 나설 태세를 구축했다. 박 대통령은 예정됐던 지방방문 일정을 전격 취소하고 서부전선을 지휘하는 3군사령부를 방문해 북한 도발에 대한 엄정한 대응을 천명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군 동향과 우리측 대응 태세를 보고 받은 뒤 “앞으로 북한의 추가도발에도 ‘선조치 후보고’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며 “정신에서 승리해야 실전에서도 승리할 수 있다”고 주문했다.
한·미 양국군은 2013년 서명한 ‘공동국지도발계획’을 가동하는 검토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의 군사도발을 가정해 우리 군에 미군 전력이 가세해 북한군을 초기에 제압하는 이 작전개념이 실전에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기도 동두천 지역에 주둔 중인 주한미군 제210화력여단도 긴급 지원 태세를 갖추고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합동참모본부 명의로 북측 총참모부에 전통문을 보내 “(북한이 추가 도발을 해오면) 자위권 차원에서 강력 응징할 것이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측에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고 경고했다.
군은 북한 위협에도 불구하고 대북 심리전도 계속하기로 했다. 백승주 국방부차관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이 우리가 요구한 정치·군사적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 이상 대북 방송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남혁상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北 준전시상태… 우리군은 강력응징 선포
입력 2015-08-21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