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게 퇴로 열어줘야 한다” 문재인, 확전자제론 꺼내

입력 2015-08-21 16:11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21일 북한의 포격을 받은 경기도 연천군 중면의 대피소를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무력도발로 불안해하는 주민들을 안심시키면서, '안보유능 정당'의 면모를 부각시키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이날 대피소에서 주민들을 만나 식사나 냉방, 잠자리 등을 둘러보고 주민들을 위로했다.

문 대표는 "어제 밤에 한 잠도 못 주무셨다고 들었다. 편안하게 계실 수 있도로고 여야가 협력해 예산을 마련하겠다"며 "북한은 남북관계만 악화시키고 주민 안전에 피해주는 군사적 도발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곳은 안보 때문에 희생을 치르는 지역인 만큼 상수원 보호구역에 지원하듯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문 대표는 "주민대피령이 과거에는 잘 없던 일인데 박근혜 정부 들어 지난해에 이어 또 대피령이 발령됐다. 그만큼 남북관계가 악화된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방문은 대화를 강조하며 '확전자제론'을 들고 나온 문 대표로서는 안보중시 의지를 드러내 "너무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대처를 불식시키려는 생각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는 의총에서 "군사적 충돌의 확대를 막는 절제된 대응이 필요하다. 대화를 통해서 위기상황을 극복하는 유연한 대응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당 한편에서는 이런 접근방식이 자칫 북한에 너무 관대하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문 대표가 확대간부회의에서 "북한에게 퇴로를 열어주어 상황의 악화를 막아야 한다"는 발언을 한 것에는,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 "부적절한 발언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자칫 북한의 도발에 너무 유약하게 대처하는 것으로 보일 경우, 문 대표 취임 후 당이 이제까지 쌓아온 '안보중시 정당'의 이미지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걱정이다.

다만 당내에서는 문 대표의 이날 연천대피소 방문으로 이런 일각의 우려도 불식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문 대표 측은 "평화적인 해결을 강조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로, 안보와 배치되는 주장이 아니다"라며 "이후로도 튼튼한 국방과 안보를 강조하는 행보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문 대표의 이같은 안보행보 속에 새로운 경제성장 모델이자 집권 비전으로 제시한 '한반도 신경제지도'에 대한 후속조치는 도발 사태로 잠시 숨을 고르고 있다.

앞서 문 대표는 적극적인 통일경제 드라이브를 걸어왔지만, 최근 비무장지대 지뢰 도발에 이어 포격까지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남북 협력만 강조할 경우 안보에 취약한 정당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우려를 고려한 것이다.

다만 경제통일론의 메시지가 남북간 군사적 대치가 있더라도 경제적 협력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자는 것인만큼 내용에는 변화 없이 추진속도만 당분간 조절할 방침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