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북한의 지뢰 도발에 이어 서부 전선 포격 도발로 남북간 긴장 관계가 급상승하자 발 빠르게 대응하며 '안보정당의 수장'으로서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김 대표는 21일 오전 통상 열리던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를 자신이 직접 주재하는 긴급 주요 당직자 회의로 전환해 대책을 숙의했다.
전날 오후에는 북한의 무력 도발 소식이 보고되자 곧바로 국회 국방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과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북한의 도발 수준과 아군의 피해 여부를 점검하고, 접경지역 주민과 전화통화를 하는 등 국민의 안전을 살폈다.
정부와 청와대가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 이후 부처 간 공조 미흡과 늑장 대응으로 비판을 받았던 것과는 대조를 이루는 모습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회의에서 "북한은 앞으로도 무슨 짓을 할지 모르는 예측 불가능하고 비이성적 정권"이라면서 "가차없이 응징하는 단호함을 보여줘야 국가 안보와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연천을 비롯한 접경 지역 주민께서 대피소에서 밤을 지새웠는데 그러한 불편과 희생을 각오면서 전국민이 단결해야 북의 도발 습성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사회에서 다소 둔감해진 '북한 리스크'를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안보 정당으로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최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한반도 신경제지도구상'을 내놓으며 5·24 대북 제재 조치 해제를 포함해 대북 유화책을 제시했던 것과는 확연히 대비되는 움직임이다.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 체제 등장 이후 불안한 북한 내부 사정을 고려할 때 북한 이슈는 내년 총선, 대선에서도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이런 점에서 김 대표의 발빠른 안보 행보는 보수 진영의 차기 대권 주자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한 도발 습성 종지부 찍어야” 김무성, 강력응징론으로 문재인과 차별화
입력 2015-08-21 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