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통한 확전 자제” 野, 北도발 투트랙 전략

입력 2015-08-21 11:57

새정치민주연합은 21일 북한의 포격도발과 관련,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추후 대응에 대해서는 "대화를 통해 확전을 자제해야 한다"며 유연한 대응에 방점을 찍었다.

야권의 전통적 의제인 '평화적인 남북대화'를 거듭 강조하고 나선 셈이지만, 당내에서는 최근 쌓아올려 온 '안보정당'의 이미지가 퇴색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고개를 들었다.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는 이날 국회에서 백승주 국방부 차관으로부터 상황보고를 받은 데 이어, 긴급 의총을 소집해 북한 도발 대책을 논의했다.

지도부는 "무력 도발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엄중한 상황인식을 드러냈지만, 이후 대응에 대해서는 대화를 강조하는 등 다소 유연한 태도를 노출했다.

문재인 대표는 "대화를 통해서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유연한 대응도 필요하다"며 조건없는 남북 고위급 접촉을 제안했다.

이종걸 원내대표 역시 "중대한 사태이자 위험천만한 행위"라고 규정하면서도 "냉정하고 침착한 대응을 주문한다. 확전은 자제돼야 한다"고 했다.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우발적 충돌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경우도 있다. 대화가 있어야 하고, 핫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CBS라디오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완전무장을 지시하고 준전시를 선포한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도발을 중단해야 한다"면서도, "북측은 관계개선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 정부가 전쟁보다는 관계개선의 길을 택해서 잘 처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우리 군의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즉각타격을 하는 것이 북한을 자극하는 길이 아닌가 해서 심사숙고한 결정일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확전자제' 목소리가 자칫 북한의 도발에 유약하게 대처하는 것처럼 비쳐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문 대표 취임 후 쌓아올린 '안보중심 정당'의 이미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걱정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평화적 방법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단호한 응징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국민들도 많다. 이들의 정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문 대표는 의총 직후 연천군 중면 대피소를 방문해 주민들을 위로할 계획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