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추가 도발 가능성 확대” 긴급 군사작전 논의 비상회의 이례적 소집

입력 2015-08-21 10:13

북한이 서부전선에서 벌어진 남북한 포격 사태에 따라 이례적으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비상확대회의를 열고 21일 오후 5시부터 '준전시사태'를 선포한다고 예고했다.

앞서 우리 정부가 20일 북한의 포격 도발에 대응해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소집한 것에 대한 맞대응으로 분석된다.

북한의 이번 비상확대회의도 당중앙 군사위원장인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직접 긴급 소집, 주재했다.

북한이 큰 틀의 국방정책이 아닌 '군사작전'과 관련해 당 중앙군사위 비상확대회의를 개최함에 따라 추가 도발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그동안 수차례의 당중앙 군사위원회 확대회의가 열렸지만 긴급 회의를 의미하는 비상확대회의는 처음이기 때문이다.

북한이 한반도 정세에 대응해 긴급 현안을 논의하는 국가적 회의를 연 것은 지난 2013년 1월 김 제1위원장 주재로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꾼협의회'에서 추가 핵실험 등 중대 조치를 협의한 이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0일 긴급 소집한 당 중앙군사위 비상확대회의에서 "21일 17시부터 전선지대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함에 대한 인민군 최고사령관 명령을 하달했다"고 보도했다.

국가기구 위에 당이 있는 권력 구조를 가진 북한에서는 모든 최종 결정이 노동당에서 이뤄지는데, 특히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는 군부 및 국방 관련 문제와 관련해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기관이다.

당 중앙군사위는 당초 김정일 시대에 거의 회의를 개최하지 않아 유명무실한 조직으로 평가됐지만, 2010년 9월 당 대표자회에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후계자 신분으로 부위원장에 오르면서 본격 가동됐다.

회의에는 주로 군 총정치국장, 국방위 부위원장, 내각 총리 등 정책 결정 핵심 인사 수십여명이 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은 김정은 시대가 본격화한 이후인 2013년 2월부터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 개최에 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공개했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이번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는 지난 2013년 2월과 같은해 8월, 2014년 3월과 4월, 그리고 올해 2월에 이어 김정은 정권 들어 여섯 번째다.

그동안 회의는 특정한 상황에 대한 긴급한 대응 차원이라기보다는 군사력 강화 문제, 조직문제, 조직 재정비 문제 등을 논의했다.

하지만 이번 포격 사태를 맞아 우리의 NSC에 대응해 이례적으로 당 중앙군사위 비상확대회의를 개최함으로써 북한이 이번 사태를 심각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는 평가가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의 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에서는 그동안 정책, 인사, 조직 등 전반적인 군사 부문에 대한 당의 지도에 대해 논의됐는데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작전이 다뤄졌다"며 "NSC에 대한 맞대응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양 교수는 이어 "이는 북한이 현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면서 사태에 대한 대응을 당 차원에서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추가 도발 가능성이 충분해 보인다"고 우려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