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서부전선에서 발생한 북한군의 포격 도발 사건은 북측의 두 차례 선제사격과 우리 군의 대응 경고사격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군 당국이 밝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53분께 경기도 연천군 중면 지역의 야산에 14.5㎜ 고사포로 추정되는 포탄 한 발이 날아들었다.
대포병 레이더로 탄도 궤적을 포착한 군은 즉각 확인 작업에 착수했다.
오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장비 오류 등으로 인해 실제 존재하지 않는 포탄의 허상이 잡힌 것일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처 확인이 끝나기도 전인 오후 4시 12분께 북측은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MDL) 남쪽 700m 부근에 76.2㎜ 직사포로 추정되는 포탄 수발을 재차 발사했다.
이에 우리 군은 오후 5시 4분부터 155㎜ 포탄 수십발을 북한군 직사포탄이 떨어진 지점과 상대되는 MDL 이북 500m 지점에 쏘는 대응사격을 실시했다.
군은 대응사격까지 거의 한 시간이 걸린 이유에 대해 "첫번째 포탄은 야산에 떨어져 확인이 되지 않았고, 두번째는 소리만 들렸기에 현지 부대장이 부근 병사들을 대상으로 파악을 하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확인 결과 감시장비로 연기가 올라오는 것을 본 사람이 있었고, 폭음도 여러 사람이 들었다. 이 시점이 오후 4시 30분쯤이고, 이에 상부에 보고한 뒤 강력한 대응 경고사격을 실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군이 대응사격을 한 지점에는 특별한 북측 시설물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북한도, 우리도 피해가 없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직사화기 특성상 도발원점 파악이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군은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도발 원점과 그 지원세력, 지휘부까지 타격하겠다고 공언했는데, 이번 사건에서 도발원점 대신 지원세력, 지휘부 타격이 이뤄지지 않은 까닭은 우리측 인명피해가 없었던 점과 불필요한 확전 방지 등이 고려된 결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인명피해가 있다면 도발원점이 파악되지 않을 경우 주변의 지원세력 등을 타격하게 돼 있지만, 이번은 그런 경우가 아니었다"면서 "대응 수위는 현지 부대에서 알아서 하는 것이고 지휘관의 판단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군은 포격 도발 직후 우리 군에 전통문을 보내 22일까지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하라고 요구했으나, 국방부는 확성기 방송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 19분차 기습 두차례 선제포격→우리 軍 대응 경고사격
입력 2015-08-20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