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이 찌게 하는 유전자가 확인돼 혁명적인 비만 치료법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매사추세츠공과대(MIT) 연구진은 최근 FTO라고 불리는 유전자에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부위를 확인하고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
그간 FTO가 뇌를 움직여 식욕이나 음식 선택을 조절한다는 가설은 나온 적이 있으나 지방을 쌓거나 태우는 신진대사를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는 처음이다.
연구진은 떨어져 있는 IRX3, IRX5 등 두 유전자가 발현하면 지방세포에 영향을 미쳐 체내에 쌓이는 지방의 양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들 유전자의 기능을 누그러뜨려 신진대사를 촉진하면 획기적인 비만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미 쥐 실험을 통해 신진대사 유전자를 변형시킨 쥐가 그렇지 않은 쥐보다 50%나 날씬해졌다는 결과가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멜리나 클로스니처 MIT 객원교수는 “유전자가 변형된 쥐는 고지방 음식을 먹더라도 살이 찌지 않았다”면서 “실험대상인 쥐는 자는 동안에도 계속 에너지를 소모했다”고 말했다.
마놀리스 켈리스 MIT 교수는 “비만이 음식 섭취와 운동의 불균형 탓에 생긴다는 전통적 견해를 떠나 유전자가 신진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며 “신진대사와 관련한 획기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현재 세계에는 5억명 이상이 비만에 시달리고 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살찌는 원리 유전자서 찾았다 - 획기적 비만치료법 기대 높아져
입력 2015-08-20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