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자신의 소신인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해 “정치생명을 걸고 관철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2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픈프라이머리는 우리 정치개혁의 결정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친박(친박근혜)계가 정치현실을 거론하며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를 적용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데 이어, 변형된 오픈프라이머리를 따로 검토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오자, 더 이상의 논란 확산을 막기 위해 강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정치생명을 건다’는 표현 자체가 반대세력에 대한 경고 의미이기도 한 셈이다.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를 흔들려는 세력들이 자꾸 말을 만들어 내는 모양”이라고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김 대표는 “여야 합의가 안 될 때는 그때 가서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며 여지는 남겼다. 이와 관련, 김 대표 측근 의원은 “야당과 합의가 안돼 새누리당만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경우 역선택 등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야당이 ‘물갈이’ 차원에서 15~20% 가량 전략공천 실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오픈프라이머리 실시에 합의할 경우 야당 전략공천 지역에서 새누리당 단독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서도 야당과 합의가 불발될 경우에 대비해 오픈프라이머리 문제점을 보완하고 상향식 공천 취지를 살리는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은 유권자가 투표를 통해 후보자를 결정하는 대신에 후보자 결정과정에 여론조사 반영비율을 100%까지 늘려 후보를 공천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천제도 개선안을 최고위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오픈프라이머리는 국고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을 경우 막대한 비용 부담이 뒤따르고, 상대 후보 지지자들이 자당의 약체 후보에 투표하는 역선택 가능성이 있으며, 자칫 유권자 참여가 저조할 경우 표심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돼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정치생명까지 걸겠다는 김무성의 오픈프라이머리 복안은...
입력 2015-08-20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