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공동연구진이 두 개의 태양을 가진 10번째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한국천문연구원 토비아스 힌세 선임연구원과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SDSU) 윌리엄 웰시 교수 등으로 구성된 케플러 우주망원경 워킹그룹은 지구에서 1400광년 떨어진 쌍성계인 케플러-453 A·B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 케플러-453b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케플러-453b는 쌍성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으로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별 표면 통과를 관측하는 방법으로 10번째 발견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8월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케플러-453b가 지구의 6.2배 크기인 가스형 행성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 행성의 모성(parent star)인 쌍성 중 케플러-453A는 태양 질량의 94%, 케플러-453B는 태양 질량의 20% 정도 크기다. 두 별은 27.3일의 주기로 서로 공전하고 있고, 케플러-453b는 이 쌍성계를 204.5일 주기로 공전한다.
연구진은 “케플러-453b는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모성과의 거리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생명체 존재가능영역’(habitable zone)에 있다. 이 행성 주위에 달 같은 위성(exomoon)이 있으면 그 위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한미 연구진, 두 개 태양 가진 외계행성 10번째 발견
입력 2015-08-20 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