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중국경제가 부정적"

입력 2015-08-20 08:20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권자들 사이에서 현재의 경제 상황이 기준금리를 올릴 조건에 더 근접하고 있지만 중국발 악재로 미국 경제의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는 시각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견해는 연준이 19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록에 담겼다.

회의록을 보면 FOMC 위원 대부분은 회의 시점인 지난달 29일까지 기준금리 인상 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세계 경제와 관련해선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미국 경제 등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는 의견을 냈다. 특히 이런 견해는 중국이 위안화를 평가절하하기도 전이었다. 미국이 위안화를 절하할 경우 미국의 대중국 수출이 감소해 미국 경제에 더욱 마이너스 요인이 된다는 의견이 있다.

많은 위원들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고용시장의 추가 개선에 대한 전망을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치인 2%로 접근할 것이라는 기대를 지지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지난달 FOMC 회의록에는 기준금리가 너무 오래 낮게 유지됐기 때문에 빨리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매파와, 아직 경제회복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금리인상 시점을 늦춰야 한다는 비둘기파 사이의 팽팽했던 의견 대립도 엿보였다.

일부 FOMC 위원들은 “물가가 중기적으로 2%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합리적 확신의 근거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주장했고, 이들 중에서는 “국제적 상황을 볼 때 물가의 추가 하락 압력이 있다”는 의견을 낸 이도 있었다. 반대로 일부는 “금리인상 조건이 이미 충족했거나, 곧 충족할 것으로 확신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