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표가 강력 추진 중인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둘러싸고 새누리당 내 계파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계는 19일 공식회의 석상에서 이 문제를 놓고 찬반의견으로 갈려 충돌도 불사했다.
포문은 비박 중진인 정병국 의원이 열었다. 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그는 “우리 당은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명분으로 지난 4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만장일치로 당론으로 채택했고 이미 법안으로 제출했다”며 “모두 동의한 제도를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반대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친박측이 “현실성이 없다”며 연일 ‘오픈프라이머리 회의론’을 제기하자 반격에 나선 것이다.
정 의원은 “선거 때만 되면 계파 대결을 하다보니 ‘공천학살’이란 말이 나오게 됐다. 공천권을 가진 보스만을 바라보는 왜곡된 정치,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정치를 해서 국민 신뢰를 상실하게 됐다”고도 했다. 이어 “누가 봐도 정치개혁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이번 국회에서 꼭 확정해야 한다”며 “공천권이 국민에게 가면 계파 정치에 몰입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비박계가 ‘명분’을 내세우자 친박계는 즉각 ‘현실론’으로 응수했다.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지낸 이정현 최고위원은 “전면적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경우 역선택, 저조한 참여율 등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인식하고 있다”며 “얼마든지 제기할 수 있는 문제이고 보완해 가자는 건데, 이야기하면 안 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친박계는 비박계가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자’는 명분이 오픈프라이머리의 제도적 허점 때문에 되레 정치개혁을 역행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 최고위원이 “계파 싸움으로 보는 시각은 오해”라고 거듭 설명했지만, 앞으로 이를 둘러싼 계파 싸움은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다만 김 대표가 회의 후 ‘오픈프라이머리 단점 보완책은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전면적 오픈프라이머리 수정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오픈프라이머리 놓고 친박 비박 또 충돌
입력 2015-08-19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