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해제 주장은 대북 퍼주기 DNA 재발” 與, 문재인 연일 공격

입력 2015-08-19 16:29

새누리당은 19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최근 '5·24 대북 제재 조치' 해제를 여야가 함께 요구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 국민감정을 외면한 것이라며 비판의 수위를 끌어올렸다.

'5·24 조치'는 지난 2010년 3월 북한의 천안함사태 이후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 사업을 제외한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전면중단한 조치를 말한다.

이장우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문 대표가 부상 장병을 찾아 위문하고 단호한 대응을 약속하더니 곧바로 북한에 선물을 주자고 하니 당혹스럽다"면서 "(북한이) 도발하면 보상하는 새정치연합의 '퍼주기 DNA'가 또다시 발현된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또 "언제까지 적군이 도발해도 아군 탓만 할 것이냐"고 반문한 뒤 "그런 자학적 안보관에 근거한 '북한 편들기'가 무모한 도발을 부추기고,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정치연합은 이런 도발행위가 일어날 때마다 북한을 감싸거나 혹은 시중의 음모론에 동조하지 않았는지 심각히 자성해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제가 보기엔 남북문제와 관련해서 여야는 큰 틀에서 이견이 없다"면서도 "그러나 5·24 조치를 해제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 정권은 잘못된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5·24 조치를 취한 데는 이유와 배경이 있었는데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무조건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야당은 사려깊은 발언과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진하 사무총장도 "국민이 연이은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는 이 때 5·24조치 해제를 요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민심을 외면하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고 문 대표를 겨냥했다.

황 사무총장은 특히 "야당은 5·24 해제를 요구하기 전에 10년 넘게 발목을 잡고 있는 북한인권법 처리부터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