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18일 김대중(DJ) 전 대통령 6주기를 맞아 ‘DJ 리더십’ 계승을 다짐했다. 대북정책 등에서 현 정부와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는 한편, 호남 등 전통적 지지층을 결집시켜 제 1야당의 ‘적통’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모식에는 새정치연합 인사뿐 아니라 야권 내 신당파와 여권 인사 등 정치권이 총출동했다.
문재인 대표는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6주기 추모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만약 김 전 대통령이 계시지 않았다면 우리나라는 정치·이념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나라가 됐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역사는 김 전 대통령을 통일의 문을 여는 대통령으로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특히 “김 전 대통령은 햇볕정책이라는 이름으로 대북정책과 동북아 외교에서 우리의 입장을 갖고 주도적으로 문을 열어나갔던 분”이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에게 가장 부족한 점이 바로 그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광복 70주년에도 남북 관계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 전 대통령의 리더십을 들어 현 정부를 비판한 셈이다.
새정치연합에서는 이날 “우리 당의 정신적·사상적 지주(이종걸 원내대표)” “민주주의 발전과 남북관계 진전을 유훈으로 새기겠다(김성수 대변인)” 등 김 전 대통령을 기리는 헌사가 이어졌다. 문 대표와 당 지도부는 오후에는 이희호 여사를 예방했다.
새정치연합의 이런 행보는 자신들이 야당의 적통을 잇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호남을 중심으로 신당·분당설 등 야권 내 주도권 다툼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새정치연합이 정통 야당임을 강조하는 전략인 셈이다. 새정치연합은 최근 ‘창당 60주년 기념사업'을 진행하는 등 부쩍 제 1야당의 적통을 강조하고 있다. 추모식에는 새정치연합 지도부 뿐 아니라 무소속 천정배 의원 등 야권 내 신당파도 참석해 미묘한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
유족 대표로 나선 김 전 대통령의 차남 김홍업 전 의원은 “아버님께서는 우리 민족의 장래와 화합, 평화통일을 위해서 평생을 바치쳤다”며 “제2, 제3의 김대중 대통령이 속히 나와주시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여권에서는 정의화 국회의장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 등이 참석했다. 정 의장은 추도사에서 “대한민국 정치인 가운데 김대중만큼 용기 있는 지도자는 많지 않았다”고 했고, 김 대표는 김 전 대통령에 대해 “불굴의 의지로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만드신 큰 지도자”라고 평가했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정치권,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6주기 추도식 총출동
입력 2015-08-18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