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칭 ‘똥배’로 불리는 뱃살이 많은 남성은 통풍에 걸릴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류마티스센터 박성환, 이주하(사진) 교수 연구팀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서울성모병원을 찾은 성인 남성 통풍 환자 103명과 건강한 남성 204명(대조군)의 비만도와 내장비만 정도를 비교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조사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1세였고, 내장지방 면적은 평균 115.6±25.3㎠로 대조군( 97.7±20.2㎠)보다 17.9㎠ 더 넓은 것으로 측정됐다. 통풍 환자들 중 내장비만 진단자는 71.8%(74명)로, 대조군의 41.2%보다 배 가량 많았다. 통풍 환자들의 내장지방 면적은 평균 98.7±19.3㎠였고, 대조군은 91.0±16.7㎠로 측정됐다. 평균 7.7㎠나 차이를 보인 셈이다.
연구팀은 체성분 분석기(인바디)로 측정해 내장지방 면적이 총 100㎠ 이상일 경우만 내장비만자로 정의했다.
조사결과 내장지방 면적은 혈중 중성지방농도, 혈중 포도당 농도와 깊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내장비만이 대사이상 증후군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임이 분명하다는 뜻이다.
더 중요한 것은 내장비만이 통풍 발생과 상당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점이다. 내장비만이 있는 사람이 건강한 사람에 비해 통풍이 발생할 위험도(오즈비)는 2.149에 달했기 때문이다. 오즈비 2.149는 내장비만으로 인해 건강인에 비해 통풍에 걸릴 위험이 2배 이상 높다는 뜻이다.
통풍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고요산혈증 질환이다. 혈중 요산(음식으로 섭취된 퓨린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 농도가 높아지면 요산 결정체가 관절 및 주위 조직에 쌓여 급성 및 만성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주로 엄지발가락이나 발목 등이 빨갛게 되면서 붓고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주하 교수는 “내장비만이 생기면 지방세포가 염증을 일으키는 아디포카인을 만들고, 이러한 염증물질이 통풍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이는데, 통풍 발작을 진정시키거나 예방하려면 적절한 식이와 운동요법을 통해 내장지방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최근 영국에서 발행된 관절질환 전문 학술지 ‘아쓰리티스 리서치 앤드 써래피’(ART) 5월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똥배’ 나온 사람은 통풍 발작 겪기 쉽다
입력 2015-08-18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