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창당 60주년 기념 사업에 박차를 가하면서 야권의 '적자'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당 안팎에서 신당 창당 움직임이 번지는 등 분열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당의 정통성을 강조해 원심력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새정치연합 '창당 60주년 기념사업회'는 17일 국회에서 상임고문단과 연석회의를 열고 기념사업 구상을 발표했다.
사업회는 내달 18일 창당 6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이를 전후해 사진전과 심포지엄을 열며 최고령 당원 및 장수 당원 찾기, 사료 발굴을 통한 '총백서' 발간 등을 60주년 기념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당명 개정도 추진된다.
전병헌 위원장은 "당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먼저 정돈한 뒤, 9월18일 이후 (당명) 개정작업에 나서겠다"면서 "일체감과 애당심이 일어날 수 있는 당명으로 뜻을 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당명개정 작업이 원만하게 이뤄질지 의문을 표하고 있다.
우선 당내에서는 '민주당'으로 이름을 바꾸자는 의견이 많지만, 정작 그 이름은 김민석 전 의원 등이 참여한 원외정당이 선점하고 있다. 야권재편 논의가 활발해지는 상황에서 이 당이 순순히 이름을 양보하지는 않으리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여기에 당내 신당파 일각에서도 "당을 만든다면 당명은 '민주당'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어 신당이 나올 경우 새정치연합과 '민주당' 당명쟁탈전을 불사할 태세다.
이에 대해 전 위원장은 "민주당명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함께 투쟁하고 활동한 역사적 축적물이다. 이름이 (같은) 민주당이라고 동일한 것은 아니다"라며 새정치연합의 정통성을 부각시켰다.
작년 3월 민주당과 합당해 '새정치민주연합'을 만든 안철수 전 대표가 당명개정을 두고 "중요한 것은 이름이 아닌 본질"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는 점도 당명 개정 상황을 낙관할 수 없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전 위원장은 "(당명문제는) 대화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면서 "우리 당의 역사를 빼면 한국정당사나 민주주의 역사도 성립하지 않을 것이다. 어떤 원심력도 60년 역사의 무게를 이겨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상현 김원기 문희상 이용희 임채정 정세균 상임고문 등 당 원로들이 대거 참석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새정치연합, 또다시 당명 개정 추진 “내달 논의 착수”
입력 2015-08-17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