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혁신위, 폭발성 높은 공천개혁안 놓고 당내 의견수렴 공론화 행보

입력 2015-08-17 16:44
김상곤 혁신위원회 위원장 국민일보DB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8차 혁신안 발표를 앞두고 당내 의견 수렴과 공론화 작업에 힘을 쏟고 있다. 이번 혁신안은 현역의원을 대거 교체하는 내용의 공천개혁안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혁신안이 나오자마자 터질 당내 반발을 최소화하려는 스탠스로 해석된다.

혁신위 관계자는 1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10일 의원총회를 시작으로 16일 대전 기초·광역 의원들과의 간담회, 최고위원들과의 만찬 등으로 당내 의견수렴과 설득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오는 20일 당무위원회에서 8차 혁신안이 상정되기 전까지 의견수렴을 계속 진행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혁신위가 혁신안 발표 전 당내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혁신위는 의원총회에서 선출직공직자평가방식을 두고 설문조사를 벌였다. 공천개혁안에 의원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한다는 차원이었다.

혁신위원인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의원들이 설문조사 통해 의사를 표시한 비율을 평가 방식에 최대한 반영했다”고 했다. 최고위원들과의 만찬자리에서도 혁신위는 설득과 의견 조율 과정을 거쳤다. 출범 초기 ‘사무총장제·최고위원제 폐지’때와는 180도 달라졌다는 평가다.

혁신위의 태도 변화에는 공천문제에 현역 의원들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혁신위는 이번 혁신안을 통해 현역 국회의원들의 공천 여부를 결정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발표한다. 여론조사, 지역· 의정활동 평가, 공약이행, 다면평가, 선거기여도 등 5~6가지의 정성·정량 평가 항목을 통해 객관적인 의원 ‘교체지수’를 산정한다는 계획이다. 혁신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은 현역 의원들을 다수 교체하겠다는 입장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 반발이 심할 수 있어 공론화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오는 20일 당무위원회 통과가 우려된다는 관측이 많았다.

여전히 갈등의 불씨는 남아있다. 혁신위 활동에 비판적 태도를 보인 당내 비주류 의원들은 ‘공천개혁안 발표 때까지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었다. 현역 의원들의 교체 비율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결정된다면 ‘호남·중진 물갈이’론이 다시금 고개를 들 가능성이 높다. 이에 반발하는 현역 의원들의 숫자가 늘어나면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신당·탈당파들의 움직임도 재개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