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경축사, 아주 미흡했다” 문재인 “특별한 메시지 없었다”

입력 2015-08-16 12:24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6일 전날 있었던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 70주년 기념 경축사에 대해 "아주 미흡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광복70년, 한반도 新경제지도 구상에 대한 기자회견'에서 "광복 70주년을 맞는 특별한 광복절이었던 만큼 특별한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가 현재 가장 어렵고, 남북관계도 대단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 가운데 박 대통령의 연설은) 여러모로 아쉽기만 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우리 야당으로써도 광복 70주년을 너머 앞으로 광복 100주년을 맞이하는 비전을 우리 집권전략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대안정당으로써의 면모를 계속해서 보여줄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문 대표는 6자회담 재개를 대비해 남북, 북미 간 2+2 회담을 제안했다. 5·24조치를 해제하고 남북교류협력의 시대를 열자는 제안도 했다.

문 대표는 북한의 지뢰 도발로 인해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으로 흐르고 있는 가운데 나온 이같은 제안은 국내 정서를 악화시킨다는 지적에 대해 과거사를 기반으로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과거 남북관계를 되돌아보면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는 무장공비가 청와대를 습격하려고하는 사건 가운데서도 북미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7.4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또 전두환정부때는 아웅산테러라는 도발이 있었지만 남북 대화끈을 놓지 않았다. 노태우 정부도 KAL 격추추락사건이라는 엄청난 도발이 있었지만 꾸준하게 북한과 대화해서 남북기본합의서를 만들어 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지금 북한의 지뢰도발 사건은 용납해서는 안된다.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강경과 강경이 상충작용을 일으키면서 위기로 치닫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그런 가운데서도 북한과 대화를 해야한다. 그 대화의 자리에서 북한의 책임을 묻고, 또 북한도 자기들 소행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대화의 자리에서 그런 설명을 내놔야 한다"며 "그렇게 남북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