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가 보급되지 않는 급수 취약지역에서 먹는 ‘안심 지하수’ 우물(음용관정)의 수질 오염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자스민 의원이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지난해 ‘안심 지하수 수질조사 결과’에 따르면 17개 시·군의 수도 미보급 지역에서 먹는 우물 2만 8797곳 중 38.3%(1만 1016곳)가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했다.
기준치를 넘은 오염물질 비율(기준치 초과율)은 총대장균군 24.4%(7032개), 질산성질소 23.1%(6642개), 탁도 0.8%(241개) 등이다.
지하수 수질보전 업무지침에 따르면 총대장균군은 일반적으로 크게 해롭지 않은 잡균으로 알려졌으나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균이어서 수질검사 대상이다.
질산성 질소는 6개월 미만 영유아에게 청색증(호흡 곤란에 의해 피부가 청색으로 변하는 증세)을 일으킬 수 있다. 어린이나 어른에게는 큰 영향이 없다고 알려졌다. 탁도는 건강에는 직접 영향이 없지만 물 소독시 소독 효율을 저하시킨다.
환경부는 수질기준 초과지역에 먹는샘물 30만병을 지원하고, 역삼투압 정수처리기 400대도 설치했다. 3곳에는 마을 공용 우물을 마련했다.
또 총대장균군이 많은 지하수는 끓여서 먹도록, 질산성질소가 많은 지하수는 역삼투압 정수 처리를 한 뒤 마시도록 지자체에 안내했다.
수도 미보급 지역의 음용관정은 약 22만곳으로 추정된다.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4만 2710곳의 수질을 조사했으며 올해는 2만 5000곳을 점검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맘 놓고 먹을 수 없는 ‘안심지하수’…10곳 중 4곳 오염
입력 2015-08-15 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