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을 전면 부인하면서 우리 정부에 증거 제시를 요구했다. 그러나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발뺌을 강력히 반박하며 “혹독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내용의 전통문을 북한군 총참모부 앞으로 발송했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14일 정책국 담화를 통해 “군사분계선 남쪽 400m 지점에 있는 괴뢰 헌병초소 앞에다가 자기방어를 위해 3발의 지뢰를 매설했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우리 군대가 그 어떤 군사적 목적을 필요로 했다면 막강한 화력수단을 이용하지 3발의 지뢰 따위나 주물러댔겠는가”라고 주장했다.
담화는 또 “일반적으로 대보병 지뢰는 자기 측 방어구역에 설비하는 것이 초보적인 군사상식”이라며 “군사분계선 남쪽 400m지점에 있는 괴뢰헌병 초소 앞에 우리가 자기 방어를 위해 그것도 3발의 지뢰를 매설하였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목함지뢰 매설이 북한 소행이라는 우리 군의 조사 결과에 대해 “괴뢰들(우리 군)이 (미리) 수거한 우리 군대의 지뢰들을 보관해두었다가 여러 곳에 매몰해놓고 이런 모략극을 날조해낸 셈”이라며 “만약 우리 군대의 ‘소행’이라고 우겨대고 싶으면 그를 증명할 수 있는 동영상을 제시하라. (동영상이) 없다면 다시는 ‘북 도발’을 입밖에 꺼내들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담화는 아울러 “황당무계한 북 도발을 떠들어댈수록 박근혜 일당에게 차례질 것은 모략과 날조의 상습범이라는 오명뿐”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대응할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이어서 전혀 개의치 않았으나 괴뢰들이 여러 증거를 내놓고 그것을 구실로 북남관계 전반을 더욱 격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우리 군 당국은 지난 5일 오전에 목함지뢰 부품으로 여겨지는 용수철 1개와 나무 파편을 수거했으며, 당일 오후 최종적으로 ‘북한의 소행’이라고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폭발사건 해당 사단은 사건 당일인 4일 현장조사에 착수해 다음날 공병대원 투입 등을 통해 증거를 확보했으며, 상부 보고 단계를 거쳐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 청와대 국가안보실 등으로 보고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조성은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jse130801@kmib.co.kr 온라인 편집=김상기 기자
우리 軍 “북한 혹독한 대가 치를 것”…北은 “증거 제시하라”
입력 2015-08-14 1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