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지뢰도발 열흘째 침묵 왜?” 朴대통령 경축사 뒤 입장 표명할 듯

입력 2015-08-14 15:13

북한이 비무장지대(DMZ)에서의 지뢰 도발에 대해 14일까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 4일 지뢰 폭발 사건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는 열흘, 10일 우리 측에서 이번 사건의 원인을 북한의 도발로 규정한지 나흘 동안 이번 사건에 대해 한마디 언급도 내놓지 않고 있다.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의 보도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남북 간 핫라인인 서해 군 통신선이나 판문점 통신선으로도 아무런 입장을 보내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15일 0시로 다가온 자신들의 표준시 변경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에 대해서는 지체없이 관영매체를 통해 비난성 입장을 밝히고 있다.

또 17일로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에 대해서도 맹비난하며 박근혜 대통령의 사진을 표적 삼아 사격 훈련을 하는 영상까지 공개하는 도발성 선전전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그런 북한이 여러 남북 간 현안 중 유독 지뢰 도발 사건에 대해서만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아직 이번 사건에 대한 대응 수위와 내용 등에 대해 명확한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우리 군 당국의 조사결과 발표와 이후 여론의 동향이 일제히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자 대남 선전을 위한 마땅한 '공격 지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10년의 천안함 사건의 경우 북한의 소행 여부를 두고 우리 측 여론이 크게 갈려 이른바 '남남갈등'이 촉발됐었다.

그러나 이번 지뢰 도발의 경우 사건 발생 지점이나 사건과 관련한 물증 및 정황증거 등이 상당히 명확해 북한의 소행 여부에 대한 이렇다 할 반론이나 이론(異論)이 크게 제기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이 섣부르게 이번 사건의 소행을 전면 부인하고 나설 경우 오히려 국제사회의 역풍을 쎄게 맞을 가능성이 큰 만큼 북한도 이에 대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여러 명분을 쌓기 위한 방편으로 광복절에 우리 측에서 나오는 대북 메시지를 본 뒤 첫 입장을 내놓을 공산이 크다.

정부가 이번 지뢰 도발을 계기로 북한에 대한 강경한 대응 입장을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포함시킬 것이 확실시되는 만큼 이를 명분삼아 비난전과 선전전에 방점을 둔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