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이완용의 땅 1573만㎡(475만8000평)중에서 국가에 귀속된 땅이 1만928㎡(3300평)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네티즌들이 들끓고 있습니다. 해체된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죠.
광복 전날인 14일 여러 매체에서 이완용의 땅 중 극히 일부가 국가에 귀속됐고, 친일파의 땅 대부분이 조사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태를 보도했습니다. 조사위원회가 해체된 사실도 알려졌는데요. 네티즌들은 “멀쩡히 잘 활동하던 조사위원회를 국회가 왜 없앴는지 이해가 안된다”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네티즌들은 “친일파가 대한민국 주류인데, 아베가 대한민국에 사과 않는 것은 당연한 일” “일재 잔재가 청산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에 정의는 없습니다” “독립운동가들, 노력해서 열심히 일하는 청년들은 집 한 채도 못 사는 대한민국서 친일파들은 떵떵 거리고 살고 있으니 이게 국가입니까” 등의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친일 재산 환수 유무를 떠나, 결혼이라도 하고 자식이라도 낳을 수 있게 집이라도 좀 구하고 살게해 달라는 젊은이들의 하소연도 있었죠. 한 네티즌은 “땅값이 비싼 이유가 여기 있었네”라며 “친일파님들, 결혼하고 들어가 살 집만 구하면 됩니다. 제 월급으로 20년을 일해도 안되네요. 집값 좀 내려주세요”라고 애원했습니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네요.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2006년 노무현 대통령 재임기간 중 설치됐습니다.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통치에 협력하고 한민족을 탄압한 반민족행위자가 그 당시 친일반민족행위로 모은 재산을 조사, 선정해 국가에 귀속하는 역할을 맡은 기관입니다.
조사위원회는 해체되기 직전인 2010년 백서를 공개하며 이완용의 친일 행각을 지적했습니다. 이완용은 일제에 적극 협력함으로서 재산과 토지 매각 대금을 챙겼는데요. 국유 미간지와 국유임야를 무상으로 대부받아 이를 제3자에게 팔고 차익을 남기기도 했죠. 이렇게 모은 재산은 여의도 면적의 1.9배인 1573만㎡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친일 재산 중 국고로 환수된 재산은 극히 일부입니다. 이완용의 재산 중 국가귀속결정이 내려진 땅은 1만928㎡(3300평), 그 후손이 소유한 토지 중 국가귀속결정된 땅은 1만9043㎡(5760평)에 그쳤죠. 이완용을 제외하고도 확인되지 않은 친일파의 재산은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창조경제는 다른 곳에서 찾을 게 아닌 듯 하네요.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이완용 땅 475만평, 환수 3000평 “친일파님, 땅값 좀 내려주세요”
입력 2015-08-14 11:30 수정 2015-08-14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