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아테네 올림픽 탁구 금메달리스트인 유승민(33)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 후보로 선정됐다.
대한체육회는 13일 서울 올림픽회관 13층 회의실에서 IOC 선수위원 대한체육회 후보 추천 소위원회(위원장 문대성)를 열고, 유승민과 사격 진종오(36)를 IOC 선수위원 복수 후보자로 선정했다. 회의 직후 김정행 대한체육회장은 문 위원장과 논의해 유승민을 최종 후보자로 결정, IOC에 추천하기로 했다.
‘탁구 신동’으로 잘 알려진 유승민은 아테네 올림픽에서 중국의 왕하오를 꺾고 남자단식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남자 단체전 동메달,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남자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유승민은 내년 리우올림픽 기간에 열리는 IOC 선수위원 선거에서 선수위원으로 선정되면, 내년을 끝으로 8년 임기가 끝나는 문대성 위원을 이어 한국 출신 선수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다.
당초 선수 위원 후보로는 진종오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종오는 아테네 올림픽 50m 남자권총 은메달, 베이징 올림픽 50m 권총 금메달과 10m 공기권총 은메달, 런던 올림픽 50m 남자권총과 10m 공기권총 금메달 등 화려한 올림픽 경력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추천 소위원회는 지난 6일 유승민, 진종오, 장미란에 대해 시행한 면접 결과와 지원자들의 외국어 등 국제활동 능력, 올림픽 경력과 성적, 후보적합성 등을 고려해 후보자를 유승민과 진종오로 압축했다. 하지만 영어 구사능력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인 유승민이 최종 낙점됐다.
문대성 위원장은 “다른 항목에서는 두 선수의 점수 차가 크게 차이 나지 않았지만, 언어수준 항목에서 큰 점수 차가 났다”며 유승민이 선정된 배경을 설명했다. 향후 IOC 위원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과거 경력보다 외국어 구사 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유승민은 18살 때인 지난 2000년부터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 크로아티아, 중국 등 5개국 리그를 10년 동안 뛰며 영어를 현장에서 익혀왔다. 실제로 유승민은 각종 국제대회에 국가대표로 출전할 때는 대표팀 대변인으로 해외 언론의 영어 취재에 응했고, 한국선수단의 통역을 도맡아 하는 등 발군의 영어 실력을 발휘했었다.
하지만 앞으로 유승민이 IOC 선수위원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고비가 더 있다. IOC는 각국 NOC로부터 1명씩의 후보를 추천받아 내년 올림픽 입촌식 2개월 전에 15명의 최종 후보를 압축한다. 여기에는 대륙별, 국가별, 종목별 안배 원칙이 있다. 현재 탁구 종목 선수위원에는 중국의 덩야핑이 있지만 내년 올림픽에 임기가 만료된다. 따라서 유승민이 최종 후보로 선정되는데 따른 걸림돌이 일단 사라지는 셈이다.
IOC 선수위원 선거는 최종 후보 15명을 놓고 리우올림픽 기간에 대회 참가 선수들의 투표로 진행되며 폐회식 전에 최다 득표를 얻은 최종 4명을 선수위원으로 선정한다.
총 15명인 IOC 선수위원은 임기가 8년으로 제한되지만, 개최지 선정 투표 등 일반 IOC 위원과 똑같은 권리를 누린다.
서완석 체육전문기자 wssuh@kmib.co.kr
영어 잘한 유승민, IOC 선수위원 후보 선정
입력 2015-08-13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