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인물 사진은 화상 교육생활에
동맥경화도 없는데 갑자기 가슴이 몹시 아팠다가 금방 사라지는 변이형 협심증이 혈관경련 때문에 일어나는 증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백상홍(사진) 교수와 인천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신동일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의 한국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특성과 예후에 대한 대규모 임상 연구결과를 미국심장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JACC 카디오바스크 인터벤션스’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변이형 협심증은 가슴이 조이거나 압박감이 오는 가슴 통증이 대부분 갑자기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져 진단이 어렵고 표준 치료법도 정립돼 있지 않은 심장질환이다.
백 교수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11개 대학병원 심장혈관센터에 가슴 통증으로 방문한 환자 2129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안에 카테터(가느다란 도관)를 넣고 특수약제를 주입한 다음 혈관 경련으로 좁아지는지 여부를 검사했다.
그 결과 21.3%(454명)에서 변이형 협심증 양성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들 중 4명(0.9%)은 2년 내 심장마비로 숨졌고, 7명(1.6%)은 심각한 부정맥, 8명(1.9%)은 급성 심근경색증과 같은 급성관동맥증후군으로 발전했다.
일반적으로 협심증은 심장을 둘러싼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제대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생긴다. 수도관을 오래 쓰면 좁아지듯이 동맥경화로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혈액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변이형 협심증은 스트레스나 흡연과 같은 자극으로 혈관에 경련이 생겨 혈관이 수축되며, 자극이 없어지면 혈관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마치 밤에 잠을 자다 근육에 쥐가 나서 꼼짝도 못하다가 근육이 풀리면서 증상이 사라지는 것과 같다. 그러나 혈관검사를 해보면 심각한 동맥경화가 없는 상태인 경우가 많다.
백 교수는 “변이형 협심증은 서양보다 일본이나 한국과 같은 아시아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며 “평소엔 아무렇지도 않다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일시적으로 생기곤 하기 때문에 신경성 위장병으로 오진되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동맥경화도 없는 심한 흉통 유발 변이형 협심증 적잖다
입력 2015-08-13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