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이상, 일본 사과 후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

입력 2015-08-12 15:35

우리 국민 10명중 6명 이상은 한중일 정상회담을 ‘일본의 침략역사 사과’ 후에 개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매경 MBN과 중국 환구시보가 기획하고 리얼미터가 실시한 한·중 공동 여론조사에서, 한중일 정상회담은 ‘일본의 침략역사 사과후에 개최’ 의견이 65.2%로, ‘조건 없이 개최’ 의견(24.8%)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최할 필요가 없다’는 6.3%, ‘잘모름’은 3.7%.

중국인들 또한 ‘일본의 침략역사 사과후에 개최’ 의견이 55.2%로 가장 많았고, ‘조건 없이 개최’ 의견은 15.4%에 불과했다. ‘개최할 필요가 없다’는 중국인들의 의견은 20.7%로 나타났다.국민 10명중 6명 이상은 동북아 정세가 불안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동북아 정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불안정적이다(매우 불안정 5.7%, 불안정 23.8%, 비교적 불안정 36.9%)’는 의견이66.4%로, ‘안정적이다(비교적 안정적 19.6%, 안정적 7.9%, 매우 안정적 0.3%)’는 의견(27.8%)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모름’은 5.8%.동북아 정세의 가장 큰 불안요인에 대한 질문에서는, 1위는 ‘북한핵(39.5%)’으로 나타났고, ‘남북한 분단(35.1%)’이 2위, ‘일본의 재무장(35.0%)’이 3위로 조사됐다. 이어 ‘영토문제(26.3%)’가 4위, ‘미국의 군사적 간섭(15.8%)’이 5위, ‘상호불신(15.2%)’이 6위, ‘미국의 아태지역 재균형 전략(6.7%)’이 7위, ‘한국의 대양해군 전략(5.4%)’이 8위로 나타났다. ‘기타/잘모름’은 3.8%.

한편, 60대 이상(54.0%)와 50대(49.9%) 고연령층에서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북한핵’을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꼽았고, 20대(39.0%)에서는 ‘남북한 분단’, 40대(45.3%)와 30대(34.9%)에서는 ‘일본의 재무장’을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꼽았다.

10명중 9명 가까운 압도적인 다수의 국민은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에 대해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려한다(매우 우려 42.9%, 우려하는 편 43.2%)’는 의견이 86.1%로, ‘우려 안 한다(우려하지 않는 편 8.1%, 전혀 우려 안 함 1.6%)’는 의견(9.7%)의 8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모름’은 4.2%.

특히, ‘매우 우려’ 응답은 연령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20대(22.2%)와 30대(36.3%)는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중장년층인 40대(53.5%)와 50대(53.8%)는 과반으로 조사됐고, 60대 이상(45.0%) 또한 젊은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7월 29일부터 3일간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 임의걸기(RDD) 전화면접(CATI) 방식으로 진행했고,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 보정했다. 응답률은 24.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