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운동을 하면 삼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삼대가 흥 한다”는 속설을 증명하는 보도가 잇따라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일보는 한국리서치와 공동으로 생존하고 있는 독립운동가와 그의 후손 1115명을 대상으로 생활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5.2%가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인 것으로 조사 됐다고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100만원 이상에서 200만원 미만이 43.0%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20.9%로 뒤를 이었다. 50만원 미만도 10.3%였다.
아울러 후손들의 가난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200만원 미만 구간에서 독립유공자 본인의 비율은 38.4%였으나 자녀는 72.2%, 손자녀는 79.2%, 증손자녀는 62.2%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100만원 미만에서도 독립유공자 본인(23%)보다 자녀(25.3%), 손자녀(37.9%), 증손자녀(24.5%)의 비율이 더 높았다.
경제적인 어려움은 교육 수준으로 연결됐다. 응답자 중 고졸이 25.7%로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졸업이 22.8%, 중학교졸 졸업이 12.8%, 무학이 4.7% 순으로 집계됐다. 매체는 교육기회 박탈이 이들을 사회 하층으로 내몬 주된 요인이었다고 지적했다.
반면 친일 후손들은 명문대를 졸업한 고학력자인데다 기업인으로 부를 대물림 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와 대조를 이뤘다.
뉴스타파는 자체적으로 작성한 친일후손 명단 1177명을 조사한 결과 3분의 1이 SKY로 불리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출신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1일 보도했다. 또 27%는 명문대를 졸업한 뒤 해외 유수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다고 매체는 전했다.
뉴스타파에 따르면 이들 중 376명인 32%가 기업인이었다. 또 상장 기업의 대표와 임원, 주주가 36.1%로 3분의 1을 넘었다. 기업 다음으로 많았던 직업은 대학교수(191명)와 의사(147명)였다. 친일 후손 중 여성의 경우 음대교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정치인과 공직자, 법조인, 언론인 등 우리 사회의 공적 영역을 움직이는 파워엘리트 그룹은 163명으로 14% 정도였다. 친일 후손들 가운데 346명이 국적을 포기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친일을 하면 대대손손 잘살고 독립을 하면 가난이 대물림 된다는 속설이 증명됐다”며 씁쓸해 했다. 아울러 “친일파 청산을 못한 결과”라는 반응도 이어졌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독립운동 후손은 가난을, 친일파 후손은 권력을 대물림 한다”
입력 2015-08-12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