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TF회의 통해 조선·건설업종 회계 감시 강화

입력 2015-08-11 18:33
금융당국이 조선, 건설 등 대형 수주업종의 회계 감시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꾸려 ‘빅배스’(Big Bath)를 차단하고 투자자 보호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빅배스는 경영진 교체 등의 시기에 잠재 부실을 모두 털어내는 회계기법으로 갑작스레 대규모 손실이 반영되며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투자자 혼란을 야기한다. 최근 잇따라 대규모 손실을 털어내고 있는 조선업과 건설업종에 대해 금융당국이 감시의 고삐를 죄기 시작했다는 평이다.

금융위원회는 11일 ‘수주업종 감시 강화 태스크포스(TF)’가 내주 초 출범한다고 밝혔다. 금융위 공정시장과를 중심으로 금융감독원 회계조사국·기업공시국,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회계기준원 등이 TF에 참여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최근 건설업계와 조선업계가 시장에 전혀 신호를 보내지 않고 있다가 갑자기 수조 원의 손실을 털어내는 일이 많았다”며 “자본시장을 어지럽히고 투자자에게 큰 혼선을 가져왔다”고 TF 출범 배경을 설명했다.

최근 3조원의 부실이 드러난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해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의 2분기 손실은 총 4조7509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를 사전에 경고한 기관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외부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은 감사보고서에 대규모 부실이나 구조조정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건설업종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대우건설이 수천억대 회계처리 기준 위반으로 금융감독원의 감리를 받았고, GS건설은 2013년 1분기 5000억원이 넘는 손실을 갑작스레 발표해 시장을 충격에 빠뜨렸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최근 내부 제보로 수천억원대 분식회계 의혹이 불거졌다.

TF는 규정 개정 등을 통해 이들 업종에 대한 공시·감리 기준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TF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금감원이 회계 관련 모범 규준안을 만들어 관련 업종 기업들에 배포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9월쯤에는 대책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