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금강산 소나무 고사에 해충 방제 지원한다

입력 2015-08-11 14:49

북한 금강산 일대의 소나무들이 말라가는 증상과 관련해 정부가 해충 방제 등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금강산 일대의 소나무가 이상 증상을 보인 원인은 진단 결과 전나무잎응애와 솔잎혹파리 등 두 가지로 확인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나무잎응애는 동면전인 9월 하순에, 솔잎혹파리는 내년 봄에 발제를 해야 하며 지금 당장은 해도 효과가 없다"면서 "북측이 밝힌 피해범위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언제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7월 15일 현대아산을 통해 금강산 소나무 상당수가 누렇게 말라가고 있다며 공동조사를 제안했고, 이에 산림과학원과 수목보호협회 소속 산림 전문가 등이 같은달 29일부터 2박3일간 금강산 내금강과 외금강 지역에서 실태조사를 벌였다.

금강산 지역의 해충 방제에 필요한 지원 규모는 수억원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지난 4월 27일 5·24 대북제재 조치 이후 처음으로 민간단체인 에이스경암에 15t 규모의 대북 비료지원을 허용한데 이어 한 산림 관련 단체의 대북 비료(2t) 지원도 추가 허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관계자는 "1개 단체에서 양묘장에서 활용할 목적으로 비료 100포대를 반출했다"면서 "사업의 전체 내용을 보고 필요한 범위에서는 비료 등의 반출도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품종개량 등의 목적을 위해서는 볍씨 등도 지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보건·농업·축산 등 분야에서 남북협력기금 30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선 현재까지 16억원이 집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4월 대북지원사업자 지정요건이 완화된 이후 통일부가 지정한 대북지원사업자 수는 기존 96개에서 104개로 8개 증가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