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이 회의 종료 나흘만인 10일 밤에야 공식 채택됐다.
이번 ARF 회의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북핵 문제와 남중국해 문제가 참가국 간 최대 이슈로 다뤄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올해 의장성명에는 북한에 대해 "비생산적인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는 문안이 담겼다.
또 "북한이 모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상의 스스로의 의무를 완전히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며 "평화로운 방식으로 한반도 비핵화의 길을 닦기 위한 6자회담을 재개함에 있어 ARF를 포함해, 건설적인 포용을 위한 모든 노력을 독려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는 지난해 미얀마에서 열린 ARF에서 채택된 의장성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북한이 회의 기간 동안 주장한 입장은 반영되지 못했다는 평가다.
북한은 리수용 외무상과 전 주유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를 지낸 리동일 등 대표단을 파견해 북핵문제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강력히 주장했으나 참가국들의 공감대를 얻진 못했다.
이에 리동일 전 차석대사는 별도의 기자회견을 자청해 핵과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입장을 밝히며 미국을 비난하기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이 자신들의 입장이 전혀 반영되지 않으니까 ARF 발표 시간에 따로 기자회견을 잡아서 입장을 발표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또 지난 2013년부터 의장성명에 포함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우려 해결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는 문안도 올해 의장성명에 반영됐다.
같은 날 열린 EAS(동아시아정상회의)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도 ARF의장성명과 함께 채택됐다.
올해 EAS의장성명에는 "북한의 최근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한반도 내 신뢰 구축 활동의 중요성과 모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들의 완전한 준수 및 당사국들의 9·19 공동성명상의 공약 이행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문안이 반영됐다.
또 "평화로운 방식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한반도 비핵화의 길을 닦기 위해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에 필요한 조건 마련을 촉구했다"는 내용도 의장성명에 포함됐다.
올해 ARF에선 또 역내 최대 현안인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해서도 "(중국의) 매립 행위를 포함해 최근 진행되는 상황에 대해 일부 장관들이 표명한 심각한 우려를 주목했다"는 내용이 담기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지난해 미얀마에서 열린 ARF의 의장성명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내용으로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매립 행위를 통한 영유권 강화 행보에 대해 아세안 일각과 미국 등이 제기하고 있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이어진 아세안 관련 회의에서는 ARF 외교장관회의·EAS 외교장관회의 공동성명 외에도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공동성명,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 등 총 5건의 문건이 채택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北, 비생산적 활동 자제하라” ARF 의장성명,회의 종료 나흘만에 채택
입력 2015-08-11 0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