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혁신위, 선거 열심히 안뛰고 공약 안지키면 물갈이

입력 2015-08-10 17:33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는 자신의 총선 공약을 제대로 지키지 않거나 지방선거나 대선 때 자당 후보를 위해 열심히 뛰지 않는 국회의원에 대해 공천 심사시 불이익을 주는 공천 혁신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지역별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처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등 혁신위 공천안이 확정될 때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혁신위원회는 10일 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총선 공천 때 국회의원 공천심사를 위해 적용할 평가항목을 설명한 뒤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합뉴스가 입수한 설문조사 문건에 따르면 혁신위는 19대 총선 공천심사 때 이미 적용한 ▲여론조사 ▲의정활동평가 ▲다면평가 외에 내년 20대 총선부터는 ▲선거기여도 ▲공약이행 ▲지역활동을 새로운 평가항목에 추가하기로 했다.

공약이행 평가는 해당 의원이 총선 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공약집에 게시된 내용을 얼마나 충실히 이행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며, 선거기여도는 지방선거나 대선 때 자신의 지역구 선거결과를 토대로 사후 평가하는 것이다.

혁신위는 지역위 조직과 운영 상황, 대민활동 등을 기초로 한 지역활동도 새로운 평가지표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혁신위 관계자는 "후보들이 공약을 남발하지 않는 것은 물론 당선 후 공약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지역민과의 약속인 총선 공약을 제대로 지켰는지 확인해 공천 심사 때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방선거나 대선의 경우 후보가 자기 계파 사람이 아니라는 이유로 열심히 돕지 않는 사례가 있어왔다"며 "계파와 상관없이 선거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선거기여도를 평가항목에 포함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혁신위는 또 국회의원 평가를 임기 4년 간 2차례 실시해 임기 내내 의정 활동은 물론 지역구 활동에도 충실하도록 했다.

19대 총선 때는 의원이 동료 의원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다면평가만 도입했지만 20대 총선부터는 당직자의 의원평가도 다면평가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혁신위는 항목별 평가결과를 취합한 결과를 단일한 수치인 교체지수로 산출한 뒤 이를 토대로 현역의원 교체비율 등을 결정하는 방식을 택하기로 했다. 다만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방식을 취할지는 추가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혁신위는 오는 12일까지 소속 의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평가방안을 마련한 뒤 16일 당 최고위원회 간담회를 거쳐 평가기준을 확정할 방침이다.

새정치연합은 18대 총선 공천심사 때 현역의원 평가 지표로 여론조사와 의정활동을 50%씩 반영했다가 19대 총선에서는 여론조사 40%, 의정활동 평가 30%, 다면평가 30%로 바꿔 다면평가를 추가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